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도시재생사업(도시재생 뉴딜)이란 무엇일까요?
    사회주택이야기 2021. 12. 27. 21:56
    728x90

     

    지난 11월 말에 동대문구 장안동에 위치한 <장안생활>에 다녀왔어요.

    <장안생활>은 소셜 하우징 디벨로퍼인 아이부키에서 만든 청년들의 주거공간이에요.

     

    “도시재생 지역에 꼭 필요한 건물을 만들어보자.”라는 생각으로 도시재생지역인 장안동에 만들어졌다고 해요.

    그런데 도시재생이 무엇인가요? 도시재생이라는 말이 아마 생소한 분들도 있을 거에요.

     

    우리나라에서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데요.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관해 알아보도록 해요


    도시재생이란?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의 강화, 새로운 기능의 도입ㆍ창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하여 경제적ㆍ사회적ㆍ물리적ㆍ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2조에 근거하여 수행되고 있어요.

     

    도시 쇠퇴지표

    도시재생 대상지역은 인구감소, 사업체 수 감소, 생활환경 악화와 관련된 5개 법정지표를 기준으로 선정합니다.

    그 선정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13조 및 시행령 제17조)

     

     

    도시재생 추진절차

     

     

    도시재생 뉴딜의 목표

    도시 쇠퇴에 대응하여 물리적 환경개선(H/W)과 주민들의 역량강화(S/W)를 통해 도시를 “종합 재생”하기 위한 뉴딜사업 추진하고 있습니다.

    (노후 주거지의 환경 개선과 도시 경쟁력 회복 사업 중점 시행)

    • (주거복지 실현) 거주환경이 열악한 노후 주거지를 정비하여 기초 생활 인프라를 확충하고, 저렴한 공적임대주택 공급
    • (도시 경쟁력 회복) 쇠퇴한 구도심에 혁신 거점공간을 조성하고 도시기능을 재활성화 시켜 도시의 경쟁력을 회복
    • (사회 통합) 주민참여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이익의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키고 소유주와 임차인, 사업주체와 주민간 상생유도
    • (일자리 창출) 업무, 상업, 창업 등 다양한 일자리 공간을 제공하고, 도시재생 경제조직 등 지역 기반의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

     

    도시재생 뉴딜 사업의 유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유형은 대상지역 특성, 사업규모 등에 따라 5가지로 구분합니다.

     
    사업유형 사업의 내용
    우리동네살리기(1)(소규모 주거), 생활권 내에 도로 등 기초 기반시설은 갖추고 있으나 인구유출, 주거지 노후화로 활력을 상실한 지역에 대해 소규모 주택 정비사업 및 생활편의시설 공급 등으로 마을공동체 회복
    주거지지원형(2)(주거), 원활한 주택개량을 위해 골목길 정비 등 소규모 주택정비의 기반을 마련하고, 소규모주택 정비사업 및 생활편의시설 공급 등으로 주거지 전반의 여건 개선
    일반근린형(준주거), 주거지와 골목상권이 혼재된 지역을 대상으로 주민공동체 활성화와 골목상권 활력 증진을 목표로 주민 공동체 거점 조성, 마을가게 운영, 보행환경 개선 등을 지원하는 사업
    중심시가지형(상업), 원도심의 공공서비스 저하와 상권의 쇠퇴가 심각한 지역을 대상으로 공공기능 회복과 역사·문화·관광과의 연계를 통한 상권의 활력 증진 등을 지원하는 사업
    경제기반형(산업) 국가·도시 차원의 경제적 쇠퇴가 심각한 지역을 대상으로 복합앵커시설 구축 등 新경제거점을 형성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

     

    (출처: 도시재생종합정보체계 홈페이지 )

     


     

     

    서울형 도시재생 사업유형

    서울시에서는 국가에서 추진하는 사업외에 자체적으로 서울형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서울형 도시재생사업은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은 도시재생특별법 제2조에 의거하여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는 주요 목적 및 성격에 따라 도시경제기반형과 근린재생형으로 구분됩니다. ‘저이용·저개발 중심지역’, ‘쇠퇴·낙후 산업(상업)지역’, ‘역사문화자원 특화지역’, ‘노후 주거지역’으로 구분되는 서울형 도시재생유형과의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정합성을 유지합니다. 

     

     

     

    서울형 도시재생 유형별 특성

     

    서울시에서는 서울형 도시재생 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도시경제기반형, 근린재생 중심시가지형, 근린재생일반형 등 3가지 형태로 구분하여 사업을 운영하고 있어요.

    각 지역의 특성과 사업의 특성 그리고 선정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선도모델 13개소

    서울시에서는 서울형 도시재생사업을 실시하면서 

    서울역 역세권, 창동과 상계, 세운상가, 낙원상가, 장안평, 창신과 숭인, 가리봉, 해방촌, 성수1,2가동, 신촌, 암사1동, 장위동, 상도4동 등 13개소를 도시경제기반형, 근린재생 중심시가지형, 근린재생일반형의 선도적인 모델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출처: 서울균형발전포털

     

     

     

    728x90
Designed by Tistory.